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확률과통계
- 연속확률변수
- 조합
- 경사하강법
- 결합확률
- 행렬의 곱셈
- 머신러닝
- 확률과 통계
- 확률
- 노름
- 정규분포
- 이산확률분포
- 연속확률분포
- 선형회귀
- 엔트로피
- 베이즈정리
- 다층 퍼셉트론
- 이산확률변수
- 역행렬
- 행렬
- 조건부확률
- 선형대수
- 최소제곱법
- 퍼셉트론
- 의사결정나무
- 서포트 벡터 머신
- 신경망
- 내적
- 벡터
- 분류
Archives
- Today
- Total
데이터사이언티스트 성장기
01. 벡터와 벡터의 연산 본문
벡터
벡터는 여러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배열로 담아 둔 것입니다.
데이터를 가로로 나열하는 지 세로로 나열하는 지에 따라 행벡터, 열벡터로 나뉩니다.
위 그림에서 P1,P2,P3,P4는 각각 벡터 P의 성분이 되고, 이 성분의 수가 벡터의 차원이 됩니다.
벡터는 좌표평면 위의 한 점까지의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벡터 A = (4, 3)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벡터의 연산
벡터끼리는 덧셈, 뺄셈 등 연산이 가능합니다. 연산을 할 때에는 벡터의 서로 대응하는 성분끼리 연산을 하게 됩니다.
스칼라배
벡터의 연산 중엔 스칼라배라는 계산이 있습니다. 스칼라는 벡터와 달리 값 하나로 이루어진 1차원 값입니다.
스칼라배 연산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2차원 벡터의 연산을 좌표평면 상에서 표현해보겠습니다.
벡터 A = (2, 1) 에 -1,2로 각각 스칼라배를 적용했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덧셈과 뺄셈도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합니다.
참고: 인공지능을 위한 수학 (이시카와 아키히코)
'수학 > 선형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역행렬과 행렬식 (0) | 2022.09.03 |
---|---|
03. 행렬 (0) | 2022.08.30 |
02. 내적과 노름 (0) | 2022.08.2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