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연속확률분포
- 조건부확률
- 신경망
- 노름
- 정규분포
- 의사결정나무
- 경사하강법
- 조합
- 머신러닝
- 엔트로피
- 확률과 통계
- 이산확률분포
- 선형대수
- 퍼셉트론
- 행렬
- 벡터
- 분류
- 다층 퍼셉트론
- 최소제곱법
- 확률
- 선형회귀
- 베이즈정리
- 행렬의 곱셈
- 내적
- 결합확률
- 이산확률변수
- 연속확률변수
- 확률과통계
- 역행렬
- 서포트 벡터 머신
- Today
- Total
데이터사이언티스트 성장기
04.역행렬과 행렬식 본문
역행렬이란 어떤 행렬에 곱하였을 때 단위행렬이 되는 행렬입니다.
여기서 단위행렬은 아래 식처럼 어떤 행렬이나 벡터에 곱하였을 때 값이 변하지 않고 원래의 값이 그대로 도출되는 행렬입니다.
단위행렬은 위 1과 0으로 이루어진 행렬처럼 차원이 달라지더라도 왼쪽 위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의 대각선상에 위치한 성분들이 1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성분들은 0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시 역행렬의 개념으로 돌아와서, 역행렬은 역수의 개념과 단위행렬을 이용하여 앞서 정의했듯이 행렬 A에 곱하였을 때 단위행렬 E가 나오는 행렬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자연수 a의 역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a에 어떤 수를 곱하면 1이 나오는지를 구하면 됩니다. 1/a, 즉 a^-1 이 되겠죠.
행렬식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행렬 A의 역행렬을 구하기 위해서는 곱해서 단위행렬 E가 나오는 행렬을 구하면 됩니다.
다시 말해, 행렬 A와 역행렬 A^-1을 곱하면 단위행렬 E가 나옵니다.
또한 A와 A^-1의 곱이 단위행렬의 형태로 도출되려면 두 행렬은 열과 행의 개수가 같은 정방행렬이어야 합니다.
더불어 정방행렬이더라도 행렬 A의 행렬식이 0인 경우엔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위 행렬A의 행렬식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A의 역행렬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에서 알아본 역행렬과 행렬식을 활용하여 방정식을 쉽게 풀이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가정해봅시다.
2x + 3y = 1
x - 2y = 4
역행렬과 행렬식을 활용하여 위 방정식을 풀 수 있습니다.
위 두 방정식을 행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행렬 X(x, y) 의 값을 구하기 위해 우리는 행렬 X 앞에 곱해진 행렬 A의 역행렬을 양 변에 곱해줄 수 있습니다.
행렬 A의 역행렬은 위 역행렬 공식을 사용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이제 양 변에 위 행렬 A의 역행렬을 곱해줍시다.
좌변에 있던 행렬 A는 역행렬 A^-1을 곱해줌으로써 사라지고 행렬 X만 남게 됩니다.
우변도 풀어보겠습니다.
따라서 x,y는 각각 2,-1이 됩니다.
참고: 인공지능을 위한 수학 (이시카와 아키히코), 머신러닝을 위한 수학 with 파이썬,R (이원상)
'수학 > 선형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행렬 (0) | 2022.08.30 |
---|---|
02. 내적과 노름 (0) | 2022.08.29 |
01. 벡터와 벡터의 연산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