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확률과 통계
- 이산확률변수
- 조합
- 최소제곱법
- 확률과통계
- 이산확률분포
- 벡터
- 퍼셉트론
- 신경망
- 머신러닝
- 엔트로피
- 선형대수
- 확률
- 서포트 벡터 머신
- 노름
- 선형회귀
- 연속확률분포
- 베이즈정리
- 역행렬
- 정규분포
- 행렬
- 내적
- 다층 퍼셉트론
- 분류
- 연속확률변수
- 조건부확률
- 의사결정나무
- 경사하강법
- 행렬의 곱셈
- 결합확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
데이터사이언티스트 성장기

확률변수란 어떤 한 실험에서 일정한 확률을 가지고 나올수 있는 변수 X에 수치를 부여한 것입니다. 이번에도 주사위 예시로 확률변수를 재정의 해보겠습니다. 확률변수란 어떤 한 실험 (주사위를 굴리는 실험)에서 일정한 확률 ( 각 면당 나올 확률은 1/6 )을 가지고 나올 수 있는 변수 X에 수치를 부여한 것 (나올 수 있는 면의 수는 1부터 6까지의 수로 표현) 입니다. 즉 주사위를 던졌을 때 나올 수 있는 숫자를 확률변수 X라고 하면 이 확률변수 X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 예시처럼 확률변수가 셀 수 있으며 특정 값들로 이루어진 경우를 이산확률변수라고 하며, 반대로 키,몸무게 등과 같이 확률변수가 될 수 있는 값이 셀 수 없는 범위의 형태로 이루어져있다면 연속확률변수라고 합니다. 확률변수는..

확률 확률이란 어떤 한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확률은 1과 0사이의 실숫값으로 나타내어 집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확률 = 어떤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가짓수 / 모든 경우의 가짓수 확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주사위를 굴리는 경우를 예시로 들겠습니다. 주사위는 6개의 면에 각각 1부터 6까지의 수가 적혀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주사위를 굴렸을 때 나올 수 있는 경우의 가짓수는 1부터 6까지의 수, 즉 총 6가지의 경우가 있습니다. 이 중 특정 수, 예를 들어 3이라는 수가 나오는 가짓수는 주사위를 굴렸을때 눈금이 3인 면이 위로 올라오는 한가지 경우만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주사위를 굴려 특정 수가 나올 수 있는 확률은 주사위를..

역행렬이란 어떤 행렬에 곱하였을 때 단위행렬이 되는 행렬입니다. 여기서 단위행렬은 아래 식처럼 어떤 행렬이나 벡터에 곱하였을 때 값이 변하지 않고 원래의 값이 그대로 도출되는 행렬입니다. 단위행렬은 위 1과 0으로 이루어진 행렬처럼 차원이 달라지더라도 왼쪽 위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의 대각선상에 위치한 성분들이 1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성분들은 0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시 역행렬의 개념으로 돌아와서, 역행렬은 역수의 개념과 단위행렬을 이용하여 앞서 정의했듯이 행렬 A에 곱하였을 때 단위행렬 E가 나오는 행렬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자연수 a의 역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a에 어떤 수를 곱하면 1이 나오는지를 구하면 됩니다. 1/a, 즉 a^-1 이 되겠죠. 행렬식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행렬 A의 역행렬..